2026 연봉 실수령액표

매년 오르는 최저임금과 보험료율, 내 월급은 얼마나 바뀔까요? 2026년에는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료율이 모두 인상되면서 실수령액에도 변화가 생겼습니다. 아래에서 2026년 기준 연봉별 실수령액을 표로 확인해보세요.

월급 실수령액 표 2026

1. 2026년 4대보험 요율 인상

올해는 모든 보험 항목이 소폭 인상되었습니다. 인상 폭은 작지만, 누적 부담으로 인해 실수령액이 약간 줄어드는 구조입니다.

  • 국민연금: 9.0% → 9.5% (근로자 부담 4.75%)
  • 건강보험: 7.09% → 7.19% (근로자 부담 3.595%)
  • 장기요양보험: 건강보험료의 약 15% 내외로 상승
  • 고용보험: 약 1.8% (근로자 부담 0.9%)

결과적으로 평균 공제율은 약 8.5% 전후로 추정되며, 세전 월급이 같더라도 2025년보다 실수령액은 약 1만~3만 원가량 줄어드는 수준입니다.


2. 2026년 최저임금


2026년 최저시급은 10,320원으로 확정되었습니다. 주 40시간(월 209시간) 근무 기준 세전 월급은 약 2,156,880원, 세후 실수령액은 약 1,950,000원 수준입니다.

구분 세전 월급 실수령액(세후)
최저임금 기준2,156,880원1,950,000원
전년 대비 인상률+2.9%+약 2%


3. 2026년 월급 실수령액표

아래 표는 2026년 4대보험 인상분을 반영해, 평균 공제율 8.5%로 계산한 세전 월급 대비 세후 실수령액입니다. 
(부양가족 1명 기준)

연봉 월급 실수령액
25,155,240원1,892,802원
27,500,000원2,063,223원
30,000,000원2,243,900원
32,500,000원2,424,907원
35,000,000원2,598,145원
37,500,000원2,776,180원
40,000,000원2,945,607원
42,500,000원3,109,007원
45,000,000원3,270,850원
47,500,000원3,432,703원
50,000,000원3,563,977원
52,500,000원3,743,350원
55,000,000원3,899,783원
57,500,000원4,055,677원
60,000,000원4,210,450원
62,500,000원4,368,353원
65,000,000원4,526,227원
67,500,000원4,681,050원
70,000,000원4,838,913원
72,500,000원4,974,927원
75,000,000원5,114,590원
77,500,000원5,257,423원
80,000,000원5,400,647원
82,500,000원5,548,880원
85,000,000원5,692,103원
87,500,000원5,840,327원
90,000,000원5,983,550원
92,500,000원6,131,773원
95,000,000원6,255,455원
97,500,000원6,398,032원
100,000,000원6,545,610원

예를 들어, 세전 연봉이 5,000만원이라면 2026년 실수령액은 약 356만원으로, 2025년 대비 약 2만 원 정도 줄어드는 것으로 계산됩니다.

▼ 보다 정확한 계산은 ‘실수령액 계산기’를 이용해보세요.



5.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실수령액 계산 시 부양가족이 많으면 금액이 달라지나요?

A. 네, 부양가족 수가 많을수록 소득세 공제액이 커져 실수령액이 증가합니다.

Q2. 2026년 최저시급 근로자 실수령액은 얼마인가요?

A. 월 209시간 기준 약 1,950,000원 내외입니다.

Q3. 보험료 인상으로 실수령액이 크게 줄어드나요?

A. 평균 1~3만 원 수준의 차이로, 체감 부담은 크지 않습니다.



 


댓글 쓰기

0 댓글

신고하기

이미지alt태그 입력

오른쪽 고정 광고

왼쪽 고정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