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기준으로 세금과 4대보험 공제 후 실제 통장에 찍히는 금액, 즉 월급 실수령액표를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아래 표에서 내 월급의 세후 금액을 바로 확인해보세요.
1. 연봉 실수령액이란?
실수령액은 급여 총액(세전 금액)에서 세금,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장기요양보험 등을 공제하고 실제로 받는 금액을 말합니다.
2. 2025년 4대보험 공제율 요약
| 항목 | 근로자 부담률 | 비고 |
|---|---|---|
| 국민연금 | 4.5% | 노후 대비 연금 적립 |
| 건강보험 | 3.545% | 건강보험료율 7.09%의 절반 |
| 장기요양보험 | 0.522% | 건강보험료의 약 14.7% |
| 고용보험 | 0.9% | 고용안정 및 실업급여 재원 |
| 소득세 | 과세표준별 차등 | 월급·부양가족 수에 따라 달라짐 |
이 항목들은 급여의 일정 비율로 빠져나가며, 직장인이라면 회사가 절반을 부담합니다.
3. 2025 월급 실수령액표
연봉별 월급 실수령액(세후 급여)을 계산한 예시입니다.
(부양가족 1명 기준)
| 연봉 | 월급 실수령액 |
|---|---|
| 2,515만5240원 (최저임금) | 189만9,300원 |
| 2,750만원 | 207만327원 |
| 3,000만원 | 225만1,650원 |
| 3,250만원 | 243만3,303원 |
| 3,500만원 | 260만7,187원 |
| 3,750만원 | 277만6,180원 |
| 4,000만원 | 294만5,603원 |
| 4,250만원 | 310만9,007원 |
| 4,500만원 | 327만850원 |
| 4,750만원 | 343만2,703원 |
| 5,000만원 | 358만3,977원 |
| 5,250만원 | 374만3,350원 |
| 5,500만원 | 389만9,783원 |
| 5,750만원 | 405만5,677원 |
| 6,000만원 | 421만450원 |
| 6,250만원 | 436만8,353원 |
| 6,500만원 | 452만6,227원 |
| 6,750만원 | 468만1,050원 |
| 7,000만원 | 483만8,913원 |
| 7,250만원 | 497만4,927원 |
| 7,500만원 | 511만4,590원 |
| 7,750만원 | 525만7,423원 |
| 8,000만원 | 540만647원 |
| 8,250만원 | 554만8,880원 |
| 8,500만원 | 569만2,103원 |
| 8,750만원 | 584만327원 |
| 9,000만원 | 598만3,550원 |
| 9,250만원 | 613만1,773원 |
| 9,500만원 | 627만9,997원 |
| 9,750만원 | 642만3,220원 |
| 1억원 | 657만1,443원 |
실수령액은 부양가족 수, 소득세율, 회사 지원 항목에 따라 조금씩 달라질 수 있으므로 참고용으로 보시면 됩니다.
▼ 보다 정확한 계산은 ‘월급 실수령액 계산기’를 이용해보세요.
4. 공무원·알바 실수령액 차이
- 공무원: 세금 체계가 단순하고 정근수당·명절수당 포함 시 실수령액이 높게 나타납니다.
- 알바(단시간 근로자): 주휴수당 포함 시 실수령액 증가, 단 4대보험 가입 여부에 따라 달라집니다.
- 프리랜서: 원천징수세(3.3%)만 공제되므로 세후 수입은 단기적으로 많지만 연말정산 때 추가 납부 발생 가능성이 있습니다.
같은 금액을 받아도 고용 형태에 따라 실수령액이 다르게 계산됩니다.
5. 세후 급여 높이는 방법
- 연말정산 시 소득공제·세액공제 항목 적극 활용하기
- 청년형 IRP, 연금저축 가입으로 절세 효과 누리기
- 건강보험 피부양자 등록 조건 확인
- 교통비·식대 비과세 한도 내에서 수당 분리 받기
이렇게 관리하면 매달 실수령액이 5~10만원 정도 달라질 수 있습니다.
6. 2026 월급 실수령액표 확인하기
2026년 기준 월급 실수령액표를 미리 확인해보세요.
📌 다른사람들이 가장 많이 본 글
.jpg)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