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 연금 수령액 조회 및 계산 방법

공무원 연금 수령액이 궁금하신가요? 오늘은 공무원 연금 수령액, 조회 방법, 인상률 변화까지 한 번에 정리했어요.

지금 바로 아래에서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공무원 연금수령액 조회

공무원 연금이란?

공무원 연금은 공무원으로 근무한 사람이 퇴직 후 매달 받는 생활 보장형 연금이에요.

국가가 운영하는 제도라 안정성이 높고, 일반적으로 국민연금보다 수령액이 많은 편이죠.

다만 근속연수와 평균보수월액에 따라 차이가 크기 때문에 직접 조회해보는 게 가장 정확합니다.



2025년 공무원 연금 인상률

2025년도 공무원연금은 전년 대비 2.7% 인상되었습니다.
이는 이미 연금을 받고 있는 수급자에게 적용되는 인상률이에요.
한편, 2025년에 새로 연금을 받기 시작한 사람에게는 3.0%가 반영됩니다.
두 인상률 모두 2025년 1월 지급분부터 자동 적용돼요.


예를 들어, 지난해 월 250만 원을 받던 분이라면 올해 약 256만 7천 원 정도를 받게 됩니다.
물가상승률을 반영한 조정이므로 매년 변동 가능성이 있습니다.


 

공무원 연금 수령액 계산 방법

공무원 연금은 평균보수월액과 근속연수, 그리고 연금 산정율을 곱해 계산해요.
기본 계산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평균보수월액 × 1.7% × 근속연수

예를 들어, 평균보수가 500만 원이고 30년 근무했다면
500만 원 × 1.7% × 30 = 약 255만원 정도가 됩니다.


근무 시기에 따라 산식이 조금씩 달라 실제 금액은 차이가 있어요.
공무원연금공단 홈페이지의 ‘예상연금조회’ 메뉴에서 직접 계산하면 가장 정확합니다.




공무원 연금 조회 방법

공무원 연금은 공무원연금공단(GEPS) 홈페이지에서 바로 조회할 수 있습니다.
휴대폰 인증만 하면 납입 내역, 예상 수령액, 인상률 반영 여부까지 확인할 수 있어요.

  1. 공무원연금공단 홈페이지 접속
  2. 상단 메뉴에서 ‘나의 연금정보 → 예상연금조회’ 클릭
  3. 본인 인증 후 예상 수령액 자동 계산
  4. 연금 개시 시기와 인상률 적용 여부 확인

퇴직 예정자라면 시뮬레이션 기능으로 퇴직 시점별 수령액 차이를 비교할 수도 있습니다.

지급일과 정지 기준

공무원 연금은 매월 21일 또는 25일경 지급됩니다. 지급일이 공휴일이라면 그보다 앞당겨 지급돼요.
또한 일정 수준 이상의 근로소득이나 사업소득이 있는 경우 연금이 일부 또는 전액 정지될 수 있습니다.
2025년 기준으로 월 920만 원 이상의 근로소득이 있으면 전액 정지 대상이에요.


자주 묻는 질문

Q1. 공무원 연금은 언제부터 받을 수 있나요?
대부분 정년퇴직 시 만 60세 이후부터 받을 수 있습니다.
조기 퇴직자의 경우 만 57세 이상이면 조기수령이 가능하지만 금액이 줄어듭니다.

Q2. 공무원 연금에도 세금이 붙나요?
네. 연금은 과세 대상이지만 일정 부분 비과세와 공제가 적용돼 실제 부담은 크지 않습니다.

Q3. 배우자나 가족에게도 유족연금이 지급되나요?
네. 사망 시에는 배우자나 자녀에게 유족연금이 지급됩니다.
유족연금액은 본인 연금액의 약 60%~70% 수준입니다.

 

댓글 쓰기

0 댓글

신고하기

이미지alt태그 입력

오른쪽 고정 광고

왼쪽 고정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