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우리 가정이 복지 지원 대상이 될까? 알아보시는 분들 많으시죠.
2026년에도 기준 중위소득이 발표되었는데요. 각종 복지사업과 보조금 신청은 이 표를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꼭 확인해야 합니다.
특히 가구원 수에 따라 금액이 달라지기 때문에, 내 상황과 비교해보는 게 중요해요. 지금 바로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2026년 기준 중위소득, 얼마나 올랐을까?
보건복지부 발표에 따르면 2026년 기준 중위소득은 25년도 대비 6.51% 인상되었어요.
- 1인 가구: 239만 원대 → 256만 원대
- 4인 가구: 609만 원대 → 649만 원대
특히 1인 가구는 7.2% 인상으로 가장 큰 폭의 변화를 보였는데요. 물가 상승과 생활비 부담을 고려해 인상폭을 크게 잡은 것으로 풀이됩니다.
📊 2026년 기준 중위소득표
아래는 2026년 기준 중위소득을 가구원 수별로 50%, 60%, 75%, 100%, 120%, 150%, 200%까지 정리한 표예요.
복지제도는 보통 “중위소득의 몇 % 이하”라는 조건을 달기 때문에 이 표를 참고해 내 소득을 대입해보시면 됩니다.
1인가구/2인가구/3인가구 기준
중위소득 | 1인 가구 | 2인 가구 | 3인 가구 |
50% | 1,282,119원 | 2,099,646원 | 2,679,518원 |
60% | 1,538,543원 | 2,519,575원 | 3,215,422원 |
70% | 1,794,967원 | 2,939,504원 | 3,751,325원 |
75% | 1,923,179원 | 3,149,469원 | 4,019,277원 |
100% | 2,564,238원 | 4,199,292원 | 5,359,036원 |
120% | 3,077,085원 | 5,039,150원 | 6,430,843원 |
150% | 3,846,357원 | 6,298,938원 | 8,038,554원 |
200% | 5,128,476원 | 8,398,584원 | 10,718,072원 |
4인가구/5인가구/6인가구 기준
중위소득 | 4인 가구 | 5인 가구 | 6인 가구 |
50% | 3,247,369원 | 3,778,360원 | 4,277,976원 |
60% | 3,896,843원 | 4,533,991원 | 5,133,571원 |
70% | 4,546,317원 | 5,289,703원 | 5,989,166원 |
75% | 4,871,054원 | 5,667,539원 | 6,417,041원 |
100% | 6,494,738원 | 7,556,719원 | 8,555,952원 |
120% | 7,793,686원 | 9,068,063원 | 10,267,142원 |
150% | 9,742,107원 | 11,335,079원 | 12,833,928원 |
200% | 12,989,476원 | 15,113,438원 | 17,111,904원 |
4인 가구의 경우 기준 중위소득 100%가 약 649만 원이에요.
만약 월 소득이 325만 원 정도라면 50% 선에 해당하기 때문에 기초생활보장이나 긴급복지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중위소득표가 중요한 이유
정부 복지사업은 대부분 중위소득 몇 % 이하를 기준으로 해요.
- 생계급여: 32% 이하
- 의료급여: 40% 이하
- 주거급여: 48% 이하
- 교육급여: 50% 이하
- 청년 월세 지원, 아동수당, 에너지 바우처 같은 지역별 사업도 대부분 100% 또는 150% 기준을 씁니다.
즉, 내 소득이 몇 % 구간에 들어가느냐에 따라 받을 수 있는 지원이 완전히 달라지죠.
내가 받을수 있는 지원 확인
- 복지로 홈페이지 모의계산
소득과 재산을 입력하면 대상 여부를 간단히 확인할 수 있어요. - 주민센터 상담
지역마다 추가 지원 제도가 있어서, 직접 상담을 받아보는 게 좋아요. - 건강보험료 기준 확인
일부 제도는 소득이 아니라 건강보험료 부과액을 기준으로 합니다. 직장·지역 가입자에 따라 금액 차이가 있으니 주의하세요.
마무리
2026년 기준 중위소득은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우리 가정이 어떤 복지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가늠하게 해주는 중요한 지표예요. 특히 이번엔 인상률이 높게 잡힌 만큼 새롭게 지원 대상이 되는 가구도 많아질 것으로 보입니다.
여러분 가정은 몇 % 구간에 속하실까요? 지금 바로 복지로 모의계산을 통해 확인해보시길 권해드립니다.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