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생회복지원금 소비쿠폰 을 받았는데 어디에서 쓸수있는지 헷갈리시나요?
당연히 될줄 알고 카드결제 했다가 내 돈으로 결제될 수 있어요.
특히 사용가능 여부가 모호한 업종들이 있습니다.
👉 카드결제했다가 내 돈나갈까 걱정이라면? 지역화폐로 신청하세요.
👉 어차피 쓸돈이라면? 빠르게 카드로 신청하세요.
이 글에서는 ‘민생회복지원금 사용처 어디?’, ‘소비쿠폰 사용 가능한 곳은?’처럼 자주 검색되는 질문을 기준으로, 사용 가능 업종, 사용 불가 업종, 조건부 사용처까지 모두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민생회복지원금 사용 가능지역
민생회복지원금 사용 가능한 곳
민생회복소비쿠폰은 지역경제 활성화를 목표로 하기에 매출 30억 이하 소상공인 중심 가맹점에서 사용이 가능하다는 점을 유념해주세요
- ✅ 전통시장, 동네마트, 음식점, 분식집, 치킨집, 카페, 미용실 등
- ✅ 약국, 병원, 한의원 등 보건의료기관
- ✅ 프랜차이즈 가맹점 (직영점 아님)
- ✅ 대형마트 안의 임대매장 (예: 안경점, 휴대폰매장, 푸드코트 등)
- ✅ 배달앱에서 ‘현장결제’ 혹은 공공배달앱 이용 시 가능
- ✅ 편의점 (매출 30억 이하 가맹점)
👉 “민생소비쿠폰 약국 병원 사용 가능한가요?” 같은 질문, 이제 헷갈리지마세요.
민생회복지원금 사용 불가한 곳
‘민생회복지원금 사용불가 업종’으로 검색해서 오는 분들이 가장 걱정하는 부분이죠.
아래는 절대 사용이 불가능한 업종입니다.
- 🚫 백화점, 면세점, 대형마트 (이마트, 롯데마트 등)
- 🚫 복합쇼핑몰, 온라인 쇼핑몰 (쿠팡, G마켓 등)
- 🚫 프랜차이즈 직영점 (예: 스타벅스 본사 운영 매장)
- 🚫 유흥업소, 귀금속점, 사행성 업종
- 🚫 대형가전 판매점 (하이마트 등)
- 🚫 통신비, 공공요금, 보험금 납부
- 🚫 교통수단: 버스, 지하철, KTX, 항공권 결제 등
Q. “온라인 쇼핑몰 사용 되나요?” → ❌ 불가입니다.
Q. “스타벅스 사용 왜 안되나요?” → ❌ 직영점이라서 그렇습니다.
조건부 사용 가능한 업종
“소비쿠폰 편의점 사용 조건” “프랜차이즈 가맹점 구별법” 이 궁금했다면, 이 단락을 꼼꼼히 확인해주세요.
- ⚠️ 프랜차이즈: 가맹점은 사용 가능 / 직영점은 불가
- ⚠️ 배달앱: 만나서 직접 결제하거나 공공배달앱(예: 땡겨요, 배달특급 등) 사용 시 가능
- ⚠️ 편의점: 가맹점 여부 + 매출 기준 30억 이하이면 가능
- ⚠️ 대형마트 내 매장: 자체 매장(X), 입점 임대매장(O)
- ⚠️ 택시: 지역 사업자로 등록된 경우 결제 가능 (면허지 기준)
🧾 소비쿠폰 사용 체크리스트
- [ ] ‘카드형’, ‘선불형’, ‘지역화폐형’ 중 무엇인가요?
- [ ] 사용 가능한 업종과 방식은 확인했나요?
- [ ] 내가 자주 가는 매장에 '이 가맹점인지 직영점인지 확인했나요?
- [ ] 매장에 '민생회복소비쿠폰' 스티커가 있나요?
소비쿠폰은 한 번 지급되면 유효기간 이후 환불 불가입니다.
놓치지 않고 제대로 쓰려면, 위 내용을 꼭 확인해두세요!
0 댓글